떨림증/ 파킨슨병

목동더편한신경과에 방문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본태성 떨림의 정의


본태성 떨림(Essential Tremor, ET)은 신경계 증상 중 하나로
그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떨림 현상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양손에 주로 나타나며, 떨림의 속도는 57Hz 정도입니다.
커피나 에너지 드링크와 같은 각성 성분을 섭취하면 증상이 악화되지만
알코올 섭취 시 일시적으로 완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본태성 떨림의 특징과 진단 기준


2018년 개정된 국제 진단 기준에 따르면 본태성 떨림 진단을 위해
최소 3년 이상 증상이 악화되지 않아야 하며
다른 양상의 떨림이 동반되지 않아야 합니다.

증상은 주로 양손에 나타나지만
간혹 머리, 얼굴, 다리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본태성 떨림은 주로 10대나 40대에서 발병하며
남성에게서 50~60% 더 자주 발생합니다.

가족력이 강하게 영향을 미치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 경향이 있어
자녀에게 질환이 유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치료 방법


본태성 떨림은 완치가 불가능하지만, 약물 치료를 통해 증상 조절이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아로티놀롤(Arotinolol)이 많이 사용됩니다.

만약 베타차단제만으로 증상 조절이 어렵다면 프리미돈(Primidone), 가바펜틴(Gabapentin), 토피라메이트(Topiramate), 조니사미드(Zonisamide) 등의 다른 약물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심부 뇌 자극술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의 정의


본태성 떨림(Essential Tremor, ET)은 신경계 증상 중 하나로
그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떨림 현상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양손에 주로 나타나며, 떨림의 속도는 57Hz 정도입니다.
커피나 에너지 드링크와 같은 각성 성분을 섭취하면 증상이 악화되지만
알코올 섭취 시 일시적으로 완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파킨슨병 원인


파킨슨병은 전체 환자의 5~10%만 유전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외 대부분은 특발성입니다.

파킨슨병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연구에서는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MPTP),
살충제(로테논, 파라콰트), 중금속(망간, 납, 구리), 일산화탄소,
유기 용매, 미량 금속 원소 등의 독소 노출, 두부 손상 등의 요인을
파킨슨병의 발병 원인으로 지적하였습니다.

뇌흑질의 도파민계 신경이 파괴되는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환경 독소,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불필요한 단백질 처리 기능 이상 등이 이를 유발한다는 추측입니다.

파킨슨병 증상

  • 1
    손떨림
  • 2
    행동이 느려짐
  • 3
    근육이 뻣뻣해짐
  • 4
    상체가 앞으로 기울어짐
  • 5
    자세 불안정

파킨슨병 진단 및 치료


파킨슨병을 확진할 수 있는 검사는 따로 없습니다.
전문의의 진찰 소견이 가장 중요한 진단법입니다.

뇌 자기공명영상(MRI)이나 뇌 PET 촬영 등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파킨슨 증후군이나 이차성 파킨슨증은
파킨슨병의 '사촌'으로도 불립니다.

파킨슨병은 이 질병들과 구별해야 합니다.

파킨슨 증후군은 진행성 핵상 마비, 다발성 신경계 위축,
피질기저핵 변성, 루이소체 치매의 증상을 보입니다.

이차성 파킨슨증은 약물 유발성 파킨슨증, 혈관성 파킨슨증,
정상압 뇌수두증, 뇌종양, 독성 물질의 원인에 의해
부차적으로 발생한 것입니다.

1. 약물 치료
항파킨슨 제제에는 레보도파, 도파민 효현제, 모노아민산화효소억제제, 아만타딘 등의 약제가 있습니다. 레보도파 제제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장기간 도파민 제제를 사용하면 몸이나 얼굴을 불수의적으로 흔드는 이상 운동증 등의 후기 운동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뇌심부 자극술이라는 수술적 치료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2. 운동 치료
파킨슨병은 활동력을 떨어뜨리고 자세 변형을 유발합니다. 고개가 앞으로 쏠리고 어깨와 등이 둥글게 구부러집니다. 이 때문에 몸을 곧게 펴는 뻗기 운동이 도움이 됩니다. 근력 운동을 강화하면 몸이 느려지고 뻣뻣해지더라도 이동성 및 기능을 유지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 파킨슨병 환자는 진행성 장애와 상관없이 신체 활동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이 매우 중요합니다. 운동을 지속적으로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