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성 뇌졸중 예방을 위해 고혈압, 당뇨, 고지질증, 흡연 등 위험 인자를 관리하고,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혈관 협착 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은 빠른 진단과 재관류 시술이 중요합니다. 초기 3시간 내 진단 시 약물이나 시술로 혈관을 열 수 있습니다.
출혈성 뇌졸중 치료는 출혈 크기에 따라 다릅니다. 고혈압에 의한 뇌출혈은 혈압 조절이 중요하며, 출혈량이 많으면 수술이 필요합니다. 지주막하 출혈은 동맥류 파열로 발생하며, 수술이 필요합니다. 동정맥 기형 파열은 수술이나 감마나이프 치료로 해결합니다.
안면 마비는 이를 유발한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를 특발성 안면 마비(벨 마비)라고 합니다.
안면 마비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논란이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보면 대개 몸이 피로하거나, 스트레스를 받거나,
신경을 쓴 후, 또는 찬바람을 쏘인 후 안면 마비가 발생해 내원하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동맥의 부종 등으로 인한 신경의 압박, 추위로 인한 면역학적 염증, 정신적 충격이나
감정적 불안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흔히 고혈압 환자에게 약 4~5배 정도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안면 마비는 원인에 따라 갑자기 생기기도 하며 서서히 생기기도 합니다.
가장 흔한 벨 마비는 몇 시간이나 며칠에 걸쳐 갑자기 발생합니다.
한쪽 눈이 잘 감기지 않고, 이마에 한쪽 주름이 적어지며, 한쪽 입꼬리를 올리기 힘들어집니다.
안면 마비가 발생한 쪽 얼굴이 덜 움직이거나 안 움직이기 때문에, 얼굴을 움직이면
얼굴이 일그러지거나 한쪽으로 돌아간 것처럼 보입니다.
눈이 잘 감기지 않아서 눈물이 흐르거나 눈이 뻑뻑해집니다.
물을 마실 때 입술이 덜 움직이는 쪽으로 물이 샐 수 있습니다.
한쪽 혀의 맛이 예전과 다르게 둔해지기도 합니다. 마비가 생긴 쪽의 감각은 그대로지만
안면이 부어 있는 듯한 느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증상은 수 시간 내 또는 수일 내에 나타나는 특징이 있고
완전 마비 또는 부분 마비로 나타납니다. 코를 찡긋하지 못하고 입을 옆으로 벌리지 못해
음식을 먹을 때 음식물을 흘립니다.
휘파람을 불지 못하고, 말을 해도 발음이 새어 정확한 발음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